java study

#9 switch문

MonkeyonMars 2022. 5. 28. 18:55

※ 시작하기 앞서  java study 카테고리 자료는 YOUTUBE에 남궁성 강사님의 자바의정석 영상을 가지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전혀 없음을 알립니다.

 

 

switch문 

 

처리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을 때 유용한 조건문

 

switch문 진행 순서

 

1. 조건식을 계산한다.

2.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한다.

3. 이후의 문장들을 수행한다.

4. break문이나 switch문의 끝을 만나면 switch문 전체를 빠져나간다.

5.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이 하나도없을때 default문 문장이 실행된다.

switch문 진행 순서

 

switch (조건식) {
	case 값1 :
    	//조건식의 결과가 값1과 같을 경우 수행될 문장들
		
        break;
        
	case 값2 :
    	//조건식의 결과가 값2과 같을 경우 수행될 문장들
		
        break; // switch문을 벗어난다.
        
        default :
        	//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이 없을 때 수행될 문장들
}

 

 

switch문의 제약 조건

 

switch문의 제약조건

1.switch문의 조건식 결과는 정수 또는 문자열이어야 한다.

2.case문의 값은 정수 상수 ( 문자 포함), 문자열만 가능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int num, result;
final int ONE = 1;

switch(result) {
	case '1':			//OK. 문자 리터럴(정수49와 동일)
    case ONE:			//OK. 정수 상수
    case "YES":			//OK. 문자 리터럴. JDK 1.7부터 허용
    case num:			//error. 변수는 불가
    case 1.0:			//error. 실수도 불가
}

 

▶참고자료  https://youtu.be/oJlCC1DutbA